조건문은 어떤 조건이 참일 때 수행되는 구문이고 반복문은 구문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사용 조건문을 만들기 위해서는 if를 사용하고 반복문은 for와 while을 사용. if if는 영어가 의미하는 대로 만약(if) 조건이 참(True)이면 if문(들여쓴문) 아래 행동을 실행. if 1: # 여기서 1은 True를 의미 print('True') # output 'True' elif 문 사용 조건을 여러 개 추가 할 수 있다. a = 0 if a == 1: print('a는 1이다') elif a == 2: print('a는 2이다') elif a == 0: print('a는 0이다') # output 'a는 0이다'..

Set 특징 Set은 중복을 허용하지 않음(중복제거, unique한 값을 가짐) Set은 순서가 없음 Set 만들기 >>> s1 = set() # 빈 set 만듬 >>> s1 set() >>> s2 = set([1, 2, 1, 3]) >>> s2 {1, 2, 3} # 또는 >>> s2 = set(range(1, 4)) >>> s3 = {1, 2, 1, 3} >>> s3 {1, 2, 3} 아이템 추가 >>> s = set() >>> s.add(1) >>> s.add(2) >>> s.add(1) >>> s {1, 2} 여러 아이템 추가 한번에 추가 >>> s = set() >>> s.update([1, 2, 3]) >>> s {1, 2, 3} 아이템 가져오기 .pop()을 사용하면 맨 왼쪽의 아이템이 반환되..

Tuple은 list나 dictionary와 다른게 한번 만들어 지면 변경될 수 없음(immutable). 데이터 모음이 변경되지 않는 것을 보장해야 할 때 사용. ()를 사용하여 만듬. Tuple 만들기 >>> t = () # 빈 tuple >>> t = tuple() # tuple() 빌트인 함수 사용 아이템 추가 한번 만들어진 tuple은 아이템을 추가하거나 변경 할 수 없기 때문에 사실상 아이템을 추가 할 수 있는 방법이 없고 tuple을 만들면서 아이템을 추가하여야 함. >>> t = (0,) >>> t = 0, 'spam', 1.2 >>> t = tuple('spam') ('s', 'p', 'a', 'm') >>> t = tuple(0) # iterable한 아이템만 사용가능 TypeError..